본문 바로가기

칼럼/COLUMN

2017-18시즌 상위 지명 신인 선수들이 극복해야할 과제(5~9)

 
NBA와 NCAA(대학농구)의 경기 수준은 차원이 다르며 새롭게 지명된 신인선수들은 그 차이를 곧 체감하게 될 것이다.


 대부분의 신인선수들은 아마추어 시절 경험하고 맡아왔던 역할을 프로에서 맡지 못할 것이고 완전히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게 될 것이다. 그들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과제는 개개인의 약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부족한 득점력, 부족한 운동능력 등 신인선수들은 자신들의 약점을 보완할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벤 시몬스를 포함한 로터리픽 선수들이 팀의 로테이션에서 한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극복해야할 과제를 나열해봤다. (잭 콜린스와 뱀 아데바요는 루키로서 특별한 역할이 요구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조쉬 잭슨(피닉스 썬즈, SF)


5 OF 13


극복해야 할 과제 효율적으로 득점하기.


 조쉬 잭슨이 외곽득점을 꾸준하게 못한다면 경기에서 효율적으로 득점하기 어려울 것이다.

 

캔자스 대학에서 기록한 56.6%의 자유투 성공률은 그의 손감각과 슈팅 메커니즘에 심각한 문제의 유무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이번 썸머리그에서 16개의 삼점슛 중 13개를 놓치고 64%의 자유투 성공률을 기록하면서 의구심을 스스로 떨쳐내지 못했다.

 

잭슨의 강력한 퍼스트 스텝과 찢어 들어가는 돌파는 오히려 수비수로 하여금 새깅디펜스를 펼쳐 점프슛을 강제하는 역효과를 불러온다. 에릭 블랫소와 데빈 부커 그리고 T.J워렌과 빅맨들이 공격을 주도하는 피닉스에서 조쉬 잭슨이 좋은 백업 혹은 대체 옵션이 되기 위해서는 중·장거리 공격능력을 향상 시켜야 한다.

 



디애런 팍스(새크라멘토 킹스, PG)


6 OF 13

극복해야 할 과제 효율적으로 득점하기.

 디애런 팍스와 관련된 모든 구단의 스카우트 보고서에는 캔터기 대학에서의 24.6%의 3점슛 성공률에 대한 내용이 있을 것이다또한 썸머리그에서 8개의 3점슛을 시도해 7개를 놓치면서 아직은 점프슛에서 높은 성공률을 못 보여준다는 것을 직접 확인시켰다.

 

디애런 팍스가 굉장히 빠르고 폭발적인 반면 중·장거리 공격에 대한 의존도가 낮음을 인지하는 수비수는 자연스럽게 그의 돌파 선택지를 줄이는 수비를 할 것이다.

 

엄청난 운동능력에도 불구하고 80kg의 청년에게 예리한 속공과 플로터 그리고 림 근처에서의 높은 성공률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은 그가 극복해야할 커다란 과제가 될 것이다.

 



조나단 아이삭(올랜도 매직, SF/PF)


7 OF 13

극복해야 할 과제 사라지지 않는 것.

 

 조나단 아이삭은 팀 공격상황에서 득점에 대한 욕심이 없다이러한 점은 그의 장점인 반면 지나치게 소극적이고 공격기회를 창출해내지 못한다는 것은 큰 단점이다.

 

이러한 그의 성향은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한 시즌을 뛰면서 잘 나타났다그는 준결승 7경기를 포함한 15경기 동안 8점 혹은 그 이하의 득점을 주로 올렸고 아주 가끔 정복모드를 발동해 3회의 20득점 경기를 펼쳤다.

 

올랜도 매직에 뽑혔다는 것은 그에게 더 많은 출전시간과 공 소유 기회를 의미한다하지만 안타깝게도 그곳에는 아이작이 편하게 플레이하도록 공격을 조립해주거나 득점해줄 재능 있는 동료가 없다아직은 견고한 하프코트 디펜스를 펼치는 팀을 상대로 공격기회를 창출해내지 못하는 아이삭이지만 만약 끊임없이 움직이고 오픈샷 기회를 만드는 팀에 뽑혔다면 훨신 위협적이었을 것이다.



 

라우리 마카넨(시카고 불스, PF)


8 OF 13

극복해야 할 과제 : NBA의 속도와 신체를 갖기.


 슛이 좋은 라우리 마카넨은 당장이라도 시카고 불스의 벤치에서 나와 득점을 올릴 수 있다하지만 부족한 운동능력과 파워 때문에 그가 골대 근처에서 무엇을 더 보여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애리조나 대학에서 신입생으로서 뛰는 1140분 동안 19개의 블락샷을 기록했지만 14%의 리바운드 점유율은 평균이하였다따라서 그가 극복해야할 과제는 인사이드에서 불리한 자신의 신체능력을 극복하거나 스몰볼 운영 시 4번의 움직임을 익히는 것이다.

 

강력한 수비수도 아니고 리바운드와 패스가 뛰어나지도 않으며 돌파나 포스트공격이 약한 마카넨이 슈팅 난조를 보이는 날에는 그의 코트마진은 상당히 낮을 것이다.



프랭크 닐리키나(뉴욕 닉스, PG/SG)


9 OF 13

극복해야 할 과제 공격창출

 넓은 수비 범위와 민첩성을 자랑하는 프랭크 닐리키나는 곧바로 출전시간을 얻고 출전해야 한다하지만 그의 공격창출능력(자신과 팀원을 위한)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프랭크 닐리키나는 급작스러운 상황과 림 근처에서 폭발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그의 볼핸들링 능력은 여전히 위협적이다. 뿐만 아니라 프랑스에서 뛸 당시 오프 더 볼 움직임도 많이 보여줬다.

곧 19(7월 28)가 되는 그는 개막전에서 뉴욕닉스의 주전 포인트가드로 출전할 가능성도 있다.

 

닉스의 새로운 신인 니리키나는 확실한 슛터이자 이타적인 선수로 잘 성장했다하지만 그가 극복해야 할 과제는 일대일 공격이 아닌 플레이메이킹을 통해 득점하는 것이다.






본문 : http://bleacherreport.com/articles/2722755-biggest-hurdle-every-top-nba-rookie-will-face-in-2017-18-season